java

-
static은 변수 선언이나 메소드 생성시 사용하며, static으로 선언된 변수는 프로그램이 실행될때 java 메모리에 할당되며, 이는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 해제된다, 파란색 글의 뜻은 해당 클래스의 객체 생성 없이 static 자원에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 (출처: https://gangnam-americano.tistory.com/20) 인스턴스 멤버: 객체(인스턴스)마다 가지고 있는 필드와 메소드들을 인스턴스 필드/메소드 라고 함, 인스턴스 멤버는 객체에 소속되어있기에 객체 없이는 사용 불가능하다. (출처: https://velog.io/@damhee6624/%EC%9D%B8%EC%8A%A4%ED%84%B4%EC%8A%A4-%EB%A9%A4%EB%B2%84-this-%EC%A0%95%EC%A0%8..
변수 선언에 관련하여static은 변수 선언이나 메소드 생성시 사용하며, static으로 선언된 변수는 프로그램이 실행될때 java 메모리에 할당되며, 이는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 해제된다, 파란색 글의 뜻은 해당 클래스의 객체 생성 없이 static 자원에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 (출처: https://gangnam-americano.tistory.com/20) 인스턴스 멤버: 객체(인스턴스)마다 가지고 있는 필드와 메소드들을 인스턴스 필드/메소드 라고 함, 인스턴스 멤버는 객체에 소속되어있기에 객체 없이는 사용 불가능하다. (출처: https://velog.io/@damhee6624/%EC%9D%B8%EC%8A%A4%ED%84%B4%EC%8A%A4-%EB%A9%A4%EB%B2%84-this-%EC%A0%95%EC%A0%8..
2022.12.20 -
터미널 명령어 pwd(현재 디렉토리) /usr/libexec/java_home(자바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동작하지 않을수도 있음) cd(change directory) 디렉토리의 위치를 바꾸는 명령어, pwd의 위치도 바뀌게 됨 ls(그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파일 리스트를 보여줌) 맥에서 환경변수 확인하고 싶을 때는 터미널에서 echo $PATH 를 입력 후 enter (자바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는다면, 환경변수에 원하는 경로를 추가하면 됨, 이때 사용하는 방법은 nano ~/.bash_profile 입력 후 enter 하고 나오는 창에서 export PATH 복사 후 붙여넣기 하고 자바가 설치되어 있는 경로를 추가하면 됨) 1. command+space bar 를 통해 터미널 실행 2. 자바 디렉토리..
이클립스 없이 내부적으로 자바 실행하기 (Mac, 터미널)터미널 명령어 pwd(현재 디렉토리) /usr/libexec/java_home(자바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동작하지 않을수도 있음) cd(change directory) 디렉토리의 위치를 바꾸는 명령어, pwd의 위치도 바뀌게 됨 ls(그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파일 리스트를 보여줌) 맥에서 환경변수 확인하고 싶을 때는 터미널에서 echo $PATH 를 입력 후 enter (자바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는다면, 환경변수에 원하는 경로를 추가하면 됨, 이때 사용하는 방법은 nano ~/.bash_profile 입력 후 enter 하고 나오는 창에서 export PATH 복사 후 붙여넣기 하고 자바가 설치되어 있는 경로를 추가하면 됨) 1. command+space bar 를 통해 터미널 실행 2. 자바 디렉토리..
2022.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