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java 필기

-
두 개념은 서로 연관이 있지는 않지만, 확실하게 이해하고 있지 않던 개념들을 이해하고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1. 참조형 배열 우선 자바에서 기본 타입을 사용해서 배열을 생성시엔, 배열의 요소(인스턴스)에는 값들이 저장되고, 배열 변수에는 값들의 모음(인스턴스에 접근할 수 있는 참조값)이 저장이된다. 하지만 참조 타입을 이용할 경우에는 위와 다르다. 1. 배열의 값에는 인스턴스 자체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고 그 참조값(인스턴스의 주소)을 저장한다. 2. 배열 변수에는 첫번째 요소의 인스턴스 참조값이 저장된다. 3. 참조형 배열은 선언한 타입으로만 값을 넣을 수 있다. Hyunjin[] arr = new Hyunjin[3]; // 자바의 배열은 크기를 초기화 해줘야 하고, 변경은 어려움 // 위와 같은 사..
참조형 배열 + 변수의 생성 시점과 자바 메모리 모델두 개념은 서로 연관이 있지는 않지만, 확실하게 이해하고 있지 않던 개념들을 이해하고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1. 참조형 배열 우선 자바에서 기본 타입을 사용해서 배열을 생성시엔, 배열의 요소(인스턴스)에는 값들이 저장되고, 배열 변수에는 값들의 모음(인스턴스에 접근할 수 있는 참조값)이 저장이된다. 하지만 참조 타입을 이용할 경우에는 위와 다르다. 1. 배열의 값에는 인스턴스 자체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고 그 참조값(인스턴스의 주소)을 저장한다. 2. 배열 변수에는 첫번째 요소의 인스턴스 참조값이 저장된다. 3. 참조형 배열은 선언한 타입으로만 값을 넣을 수 있다. Hyunjin[] arr = new Hyunjin[3]; // 자바의 배열은 크기를 초기화 해줘야 하고, 변경은 어려움 // 위와 같은 사..
2024.01.30 -
1. 리터럴과 접미사 L / F 문자열 리터럴을 제외한 byte / short / int / long / double / boolean / char 등의 리터럴은 '스택'에 일시적으로 적재되었다가 '변수'라는 메모리 공간으로 저장된다. 보통 21억이 넘어가는 매우 큰 수가 아닌 이상 4byte 크기의 공간에 적재되며, 그보다 큰 수는 8byte 공간을 사용하는데 이때 JVM에 8byte의 공간을 사용한다고 알리기 위해 접미사 L을 사용한다. 추가적으로 실수는 기본적으로 8byte 공간에 적재되며, 접미사 F를 사용하여 JVM에다 4byte의 공간을 사용하는 실수라고 알릴 수 있다. ex) (32.1531894726 != 32.1531894726F) => 실수형(8byte)과 Float 실수형(4byte)..
리터럴과 접미사 그리고 형변환1. 리터럴과 접미사 L / F 문자열 리터럴을 제외한 byte / short / int / long / double / boolean / char 등의 리터럴은 '스택'에 일시적으로 적재되었다가 '변수'라는 메모리 공간으로 저장된다. 보통 21억이 넘어가는 매우 큰 수가 아닌 이상 4byte 크기의 공간에 적재되며, 그보다 큰 수는 8byte 공간을 사용하는데 이때 JVM에 8byte의 공간을 사용한다고 알리기 위해 접미사 L을 사용한다. 추가적으로 실수는 기본적으로 8byte 공간에 적재되며, 접미사 F를 사용하여 JVM에다 4byte의 공간을 사용하는 실수라고 알릴 수 있다. ex) (32.1531894726 != 32.1531894726F) => 실수형(8byte)과 Float 실수형(4byte)..
2024.01.19